박생광은 우리나라의 불교 설화, 민화, 역사 소재 등을 주제로 한 채색화로 민족회화의 새로운 세계를 개척한 ‘진채화의 거장’이다.
그는 1904년 경남 진주 출생으로 진주보통학교와 진주농업학교를 다녔고, 이때 한국 불교계의 거목이 된 청담 스님을 만나 인연을 맺었다. 1920년 일본으로 건너가 교토시립전문회화학교 (현 교토예술대학)에서 일본화를 공부하였으며, 조선미술전람회, 일본미술원전 등에 출품하여 작품을 인정받았다. 1945년 광복 이후 귀국하여 고향인 진주로 돌아가 작품 활동을 하며 ‘백양회(白陽會)’ 창립전에 참가하였고, 1963년에는 경상남도 문화상을 수상하였다. 1967년 서울로 상경 후 이듬해 홍익대, 경희대 등에 출강하며 작품 활동을 이어 나갔다.
1974년 일흔의 나이에 일본으로 건너간 후 1977년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귀국과 동시에 진화랑에서 개인전을 열어 크게 명성을 얻었으며, 이 시기부터 종전에 쓰던 ‘내고(乃古)’란 호를 ‘그대로’로 바꾸고, 작품 제작연도를 서기에서 단기로 바꾸어 한글로 표기하였다.
1981년에는 서울 백상기념관에서 개인전을 열었다. 이 전시 이후 민화적이고 토속적인 박생광 특유의 화풍을 정립하였고, 같은 해 <토함산 해돋이>가 제17회 중앙미술대상 예술부문 장려상을 받았다. 1982년 78세 나이에 인도의 불교 유적지 및 힌두 사원 등을 순례하면서 인도 미술협회와 인도 한국대사관 주최로 뉴델리에서 개인전을 개최하였다. 인도 여행 이후 《혜초 스님》, 《청담 대종사》, 《명성황후》, 《전봉준》등을 발표하며 방만한 스케일과 영(靈)과 속(俗), 환영과 실재가 혼재하는 초월적 시공간을 보여주었다.
박생광은 1984년 서울 문예진흥원 미술회관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1985년에는 파리 그랑팔레 르 살롱 전에 특별 초대 작가로 선정되었다. 그러나 그 해 7월 후두암으로 안타깝게 생을 마감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은 그가 타계한 지 1년 후인 1986년, 호암갤러리에서 열린 그의 1주기 회고전을 통해 총체적으로 조명되기 시작했다. 주홍색과 감청색의 대담한 색채와 환상적이고 복합적인 분위기를 주는 박생광의 대작들은 관람객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는 한편, 한국 채색화의 새로운 분기점이 되었다.
* 참고자료 : 박생광 [朴生光] (두산백과), 박생광 [朴生光]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사진출처 :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전시경력
내고 박생광: 대안동 216번지에서, 진주시립이성자미술관
유작전, 부산 시립미술관
색 그대로 박생광, space*c
이영 미술관 주관 박생광 작품전, 바르셀로나 성 아그스티 문화센터
개인전, 동경 채호당, 상은본점, 한국문화원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