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Choun Hwan, who had been mainly working on literary and ink paintings since he took the rostrum in his early 20’s, established his unique art world by reinterpreting Korean painting from a modern viewpoint. As seen in his semi-figurative art such as “The Mood of the Mountain,” “The Moon Jar,” and “The Moon Jar (Gold),” his artworks began from finding Korean subjects and finally reached complete abstractness with his “Light + Grain” series. The harmony of dots, lines, and sides on a huge flat surface is the device that is implicit in the cycles of nature and the principles of the negative and positive. The process that various colors are harmonized and form a simplified pattern in the midst of intricacy is reminiscent of light and waves, and thus enables viewers to discover the form of nature in his artwork. He embodies the logic of deep and mellow mystery, including the condensed trace of the continuity that repeats emptying and filling the mind after the time of endurance. Eventually, the glare of grain that steals everyone’s eyes with the moonlight shows the existence of embrace.
In 1956, Lee Choun Hwan was born in Wando, South Korea. He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Konkuk University and has participated in thirteen solo exhibitions and around three hundred group exhibitions. Moreover, he has been working as an adjunct professor of the Police Comprehensive Academy and a visiting professor of army headquarters, endeavoring to do various activities in the art field.
―
20대 초반 등단 이후에 문인화와 수묵화를 주로 작업해 온 이 화백은 한국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여 독창적인 조형 세계를 확립하였다. 자연을 품에 안은 ‘삼라만상’을 주제로 한 그의 작업들은 '산의 기운', '달항아리', '황금 월매'와 같은 반구상에서 볼 수 있듯 한국적 소재를 찾는 것에서 시작해 '빛+결' 시리즈에 이르러 완결된 추상성을 보여준다.
1956년 전라남도 완도에서 태어난 이춘환은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경찰인재개발원 외래교수와 육군본부 초빙교수를 겸임했다. 그는 20대 초반 문인화와 수묵화로 미술계에 등단한 이래, 40년 동안 한국 화가로서 입지를 다지며 다수의 개인전 및 단체전에 참여해 교육 이 외에도 꾸준한 예술 활동을 이어왔다. 그는 대한민국미술대전 특선(2001) 및 '제4회 대한민국창조문화예술대상'에서 대상(2016)등의 수상 경력으로 국내에서 입지를 다졌으며, 일본 자주현전에서 문화교류상(요코하마미술관)을 받아 한국화의 아름다움을 국제적으로 널리 알린 바 있다.
또한, 2013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초대작가로 선정된 이래 2018년 제37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구상부분 한국화 운영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이어 (사)한국미술협회 이사와 국회 문화체육관장 위원장(2016)을 역임하며 2019년부터 제9회, 제10회 호국미술대전 운영위원으로서 활동하였다.